"돈의속성" 김승호 회장이 말하는 돈버는 방법
부자되는방법
돈의 속성 저자 김승호 회장은 이 책을 통해서 부자가 되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글을 모르는 문맹은 서럽고 가난한 삶을 살게 된다. 금융문맹인 사람은 자산을 지키고
늘리는 데 있어 무너진 성벽을 지키는 성주와 같은 신세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도를 조사하면 OECE 평균보다 낮다. 연령별 이해도를 살펴보면
30대가 가장높고 그다음으로 40대,50대 ,20대 60대,70대 순으로 나타난다.
수입이 많을수록 금융지식이 늘기도 하지만 금융지식이 많아야 소득도 늘고 재산을
지킬 수 있기에 금융이해력 자체가 대단한 삶의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금융지식이 부족하면 잘못된 투자나 금융 결정을 하기 쉬우며
이런 결정은 결국 스스로를 신용불량자나 빈곤층으로 전략하게 해 사회 전체의 문제가 된다
금융문맹을 벗어나기 위해 알아야 할 금융용어들을 몇 가지 알아보자
가산금리: 금융기관에서 대출 , 채권 따위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금리
경기 동향지수: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 로서 파악하기 위해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 지수
고용률: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
고정금리: 약정금리가 만기 때까지 변하지 않는 금리
고통지수: 특정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이며 국민들의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해서 수치로 나타냄
골디락스 경제: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음에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상황
공공재: 사회 간접자본이라고 하는 전기, 전화, 수도, 도로, 교육 등과 같은 것으로 생산에
대한 기여와 상관없이 누구나 그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
공급 탄력성: 가격이 몇% 변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변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
공매도: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매도 후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해당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면 되는 것으로 약세장 예상될 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
국가신용등급: 국가가 돈을 빌려서 원금을 얼마나 갚을 수 있냐를 등급으로 나타내는 척도
국채: 나라가 지고 있는 빛
금산분리: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분리하는 것
산업자본(기업)이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자본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막아놓은 것
기축통화: 국제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화폐
기회비용: 선택에 따른 진정한 비용(여러 대한들 중에 하나의 대안을 선택할 때
선택하지않은 대안들 중 가장 좋은 것)
낙수효과: 정부가 투자증대를 통해 대기업과 부유층을 먼저 늘려주면 경기가
부양되어 결국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도 혜택이 돌아가 경제발전과
국민의 복지가 향상된다는 이론
더블딥: 경기 침체후 잠시 회복기를 보이다가 다시 침체에 빠지는 이중침체 현상
디커플링: 국가와 국가 또는 한 국가와 세계의 경기들이 같은 흐름을 보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현상
디플레이션: 통화량 축소에 의해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제되는 현상
돈의 속성 저자 김승호 회장은 이 책을 통해서 부자가 되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글을 모르는 문맹은 서럽고 가난한 삶을 살게 된다. 금융문맹인 사람은 자산을 지키고
늘리는 데 있어 무너진 성벽을 지키는 성주와 같은 신세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도를 조사하면 OECE 평균보다 낮다. 연령별 이해도를 살펴보면
30대가 가장높고 그다음으로 40대,50대 ,20대 60대,70대 순으로 나타난다.
수입이 많을수록 금융지식이 늘기도 하지만 금융지식이 많아야 소득도 늘고 재산을
지킬 수 있기에 금융이해력 자체가 대단한 삶의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금융지식이 부족하면 잘못된 투자나 금융 결정을 하기 쉬우며
이런 결정은 결국 스스로를 신용불량자나 빈곤층으로 전략하게 해 사회 전체의 문제가 된다
금융문맹을 벗어나기 위해 알아야 할 금융용어들을 몇 가지 알아보자
가산금리: 금융기관에서 대출 , 채권 따위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금리
경기 동향지수: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 로서 파악하기 위해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 지수
고용률: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
고정금리: 약정금리가 만기 때까지 변하지 않는 금리
고통지수: 특정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이며 국민들의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해서 수치로 나타냄
골디락스 경제: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음에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상황
공공재: 사회 간접자본이라고 하는 전기, 전화, 수도, 도로, 교육 등과 같은 것으로 생산에
대한 기여와 상관없이 누구나 그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
공급 탄력성: 가격이 몇% 변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변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
공매도: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매도 후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해당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자에게 돌려주면 되는 것으로 약세장 예상될 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
국가신용등급: 국가가 돈을 빌려서 원금을 얼마나 갚을 수 있냐를 등급으로 나타내는 척도
국채: 나라가 지고 있는 빛
금산분리: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분리하는 것
산업자본(기업)이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자본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막아놓은 것
기축통화: 국제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화폐
기회비용: 선택에 따른 진정한 비용(여러 대한들 중에 하나의 대안을 선택할 때
선택하지않은 대안들 중 가장 좋은 것)
낙수효과: 정부가 투자증대를 통해 대기업과 부유층을 먼저 늘려주면 경기가
부양되어 결국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도 혜택이 돌아가 경제발전과
국민의 복지가 향상된다는 이론
더블딥: 경기 침체후 잠시 회복기를 보이다가 다시 침체에 빠지는 이중침체 현상
디커플링: 국가와 국가 또는 한 국가와 세계의 경기들이 같은 흐름을 보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현상
디플레이션: 통화량 축소에 의해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제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