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이 온 도시/지역 찾는것 이것만 알면된다
재개발 흐름분석
흐름이온 도시와 지역을 찾는것 이것만 알면 찾을수있습니다.
1.지난 10년간 매매/전세 가격지수/ 2개월 지수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흐름이온 도시와 지역을 찾는것 이것만 알면 찾을수있습니다.
1.지난 10년간 매매/전세 가격지수/ 2개월 지수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흐름이온 도시와 지역을 찾는것 이것만 알면 찾을수있습니다.
1.지난 10년간 매매/전세 가격지수/ 2개월 지수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1.지난 10년간 매매/전세 가격지수/ 2개월 지수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1.지난 10년간 매매/전세 가격지수/ 2개월 지수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2. 미분양
- 위험요소를 체크하는 절대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 실질적인 미분양 단지의 입지를 확인해봐야합니다.
3.입주물양(공급량)
- 위험요소 체크포인트2 라고 할수있습니다
-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에따라 가격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할수있습니다
예)2020년 겨울 미친듯이 상승하던 대구 ==>현재 큰하락세
숨어있는 입주물량 체크 필요-> 재개발/재건축 후분양 물량 확인필요
4.청양경쟁률
- 시장이 살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특별히 경쟁률이 낮거나 미분양이 난경우
-> 입지등,양호한데 청양경쟁률이 낮다-->위험신호로 볼수있다.
자 이제 하나의 도시를 정해서 그도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도시의 흐름을 분석하기위해서는 과거 10간의 매매가격 지수/전세가격지수를
살펴봐야합니다.
(이 그래프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볼수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창원 매매가격 지수 10년 그래프입니다.
파란그래프가 이 매매가격지수 검은선 그래프가 전세 지수를 나타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 같이 상승하다가 최고점 2016년 1월 까지 상승하다가 그후
하락을 시작해서 끝없이 내려갑니다
2019년 11월에 바닥을 다지고 상승의 흐름을 오게 됩니다
이지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확인없이 2016년도에 집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폭락의 쓴잔을 마시는거겠죠
창원 매매/전세 지수
2016년 1월 부터 가격이 폭락하게된건은 다름이아닌 엄청난 미분양 물건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됩니다. 공급은 계속되는데 더이상 사줄 수요가 없다면 가장 먼저 미분양이 발생하게됩니다.
입지가 좋지 않은곳부터 미분양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입지가 좋은 곳도 미분양이 발생
하게되고 기존 분양권에 붙은 프리미엄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재건축 프리미엄도 떨어지고
기존아파트도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2019년 11월에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매매가격/전세가격도 동반 상승의 흐름을 타고 급격하게 상승하게됩니다.
자고 일어나면 가격이 올라있고 하루하루 가격이 상승하는게 엄청났습니다.
빨간색 선의 최저점이 매매지수의 바닥이고 미분양의 정점시점과 연결이됩니다
파란색 선의 시점이 미분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시점으로 매매/전세 지수
상승을 동반하는 지점입니다.
창원시 미분양
창원 수요/입주
창원 수요와 입주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매매/전세지수가 최고점에 달했던 2016년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매매/전세지수가 높았다
2017년부터 3년동안 수요보다 공급이 배로 많은것을 확인할수있는데
공급은 계속되는데 그만큼 소화를 못시켜
미분양이 계속늘어나게된것이다. 미분양이 계속늘면서
매매/전세지수도 하락으로 연결되는것을 볼수있다.
2022년부터 향후 몇년간 공급물량이 적어서 투자의
위험성이 낮다고 볼수있습니다
매매가격와 전세가격은 미분양과/ 공급물량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투자를 할때는 반드시 이지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상승의 흐름이올때 올라타야 합니다.
창원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볼까요
창원 청약경쟁률
최근 6개월 의 경쟁률을 보면 굉장합니다.
경쟁률이 높다는것은 시장분위기가 상당히 좋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표에 84경쟁률이 상당히 낮은 감계데시앙, 성산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의 경우는
입지에서 상당히 떨어지는곳이라 경쟁률이 많이 낮게 낮게 나왔습니다.
창원의 흐름분석결론은 미분양이 없고 리스크가 없다고 볼수있다
공급이 없어서 리스크도 없다고 볼수있다.
청약경쟁률이 여전히 높아서 수요가 살아있다고 볼수있다.
투자해볼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